청년희망적금 조건 중도해지 만기금액 알아보기(목돈 만드는 쉬운 방법)

 

청년희망적금 조건 중도해지 만기금액 알아보기

청년희망적금 조건 중도해지 만기금액 알아보기(목돈 만드는 쉬운 방법) 

요즘 내 집 마련하려면 일반인 직장인 월급으로 구입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래서 많은 청년들이 집을 사는 걸 포기하고  YOLO라는 신조어가 생겼습니다.

미래를 위해서 사는 게 아니라 현재 즐거움 위해서 있는 돈을 모두 사용하는 걸 말합니다.

물론 집을 사기 어려워 포기하고 싶은 마음을 위해 못하는 건 아니지만 목돈이 모여야 큰돈을 모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청년들이 조금이라도 돈을 모으기 싶게 만들어진 정책이 있습니다.

바로 청년희망적금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려면 조건이 무엇일까요?

만약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고 중도해지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열심히 모아서 청년희망적금을 만기 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청년희망적금 조건 중도해지 만기금액(목돈 만드는 쉬운 방법)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정보 사이트

청년희망적금 정보 검색이 가능한 서민금융진흥원으로 연결됩니다.

청년희망적금 조건 중도해지 만기금액 알아보기(목돈 만드는 쉬운 방법) 

1.청년희망적금

청년희망적금은 정부에서 청년 지원정책으로 만들어낸 은행 상품입니다.

청년희망적금 기간 24개월 연도별 납입 금액의 2~4% 저축 장려금 지원을 하고

시중 은행 금리 5~6% 적용,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이런 혜택 덕분에 많은 청년들의 관심을 받으면서 290만 원 적금 가입자를 만들며 엄청난 인기를 끌었습니다.

코로나 시기에 주식, 비트코인에만 관심이 많았던 청년들이 기준금리가 높아지면서

은행 적금 이자율이 높아지면서 많은 적금 가입자를 만들어낸 한몫을 한 것 같습니다.

2.청년희망적금 조건

청년희망적금 가입을 하려면 조건은 어떻게 될까요?

청년희망적금은 2022년 2월~3월 기간 동안 신청을 받던 적금 상품이라서 현재는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만약 청년희망적금 가입을 못했다면 아쉬울 수도 있지만 다음에 이런 기회가 또 있을 수도 있으니 미리 가입 조건을 알아두는 것도 좋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조건은 만 19세 34세 청년 중에서 총 급여가 3600만 원 이하인 경우

종합소득 금액으로는 26000만 원 이하인 경우 가입을 할 수 있었습니다.

병역복무 기간을 산입하면 최대 6년으로 최고 39살까지 가입이 가능했었습니다.

월 최대 납입금액은 50만 원 2년 만기 자유적립 적금 방식입니다.

3.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

아니 힘들게 청년희망적금에 지원해서 됐으면서 중도해지하려고 하니 말이 되나? 최대 금리가 10%나 되는데?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 일은 어떻게 될지 모르고 청년인 경우 사회 초년생이기 때문에 돈이 언제 필요할지 아무도 모릅니다.

이유로는 경조사 생활비 등이 있겠지만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어서 중도해지 사유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 같습니다.

10만 원 언더로 가입한 청년 해지율이 49.2% 한도 최고 금액 50만 원 납입한 경우는

14.8%, 만 19세인 경우 27.9% ,만 34세 21.2% 가 중도 해지를 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납입금액이 낮고 나이가 어릴수록 중도해지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4.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한 경우

청년희망적금을 중도해지하게 되면 중도해지 사유가 특별중도해지 조건에 해당이 되면 정부 기여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 기여금 + 이자소득 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별 중도해지


  • 가입자 본인이 사망한 경우



  • 가입자 본인이 해외로 이주를 한 경우



  • 사업장이 폐업을 한 경우



  • 퇴직한 경우



  • 가입자 본인이 3개월 이상 입원 치료를 받았거나 요양을 한 경우



  • 계약 해지일 기준으로 6개월 이내 천재지변으로 피해를 입은 경우


특별중도 해지는 퇴직인 경우를 빼면 다른 조건은 없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한 일반적인 중도해지를 하는 경우에는 정부 기여급 지급이 없으며 이자소득 비과세 적용 또한 받을 수 없습니다.

5.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청년희망적금이 나온 지 1년이 넘은 지금 1년 이상 유지를 한 경우 만기가 조금 밖에 안 남았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까지 읽고 계신 청년분들이 계시다면 여태까지 적금 유지하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년희망적금 최대 금액인 50만 원을 2년 납입으로 만기 수령하게 되면 12,985,000원입니다.

하지만 은행별로 조금씩 다라서 틀릴 수 있습니다. 은행별로 미리 보기 한 경우 우대금리를 주는 경우도 있어서 잘 확인해 보는 게 더 이득입니다.

예로 청년희망적금 은행 제공 금리 연 5%로 인 경우


  • 월 납입금액 50만 원 (2년 동안 납입액 1200만 원)



  • 은행 이자(세전) 625,000원



  • 이자 소득세 (비과세로 없음)



  • 저축 장려금 360,000원



  • 총 1,298,5000원


이제 곧 있으면 청년희망적금 만기일이 다가오고 있어서 조금만 더 참으면 1300만 원 가까이 되는 목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동안 청년희망적금 가입한 모든 청년분들을 고생하셨고 앞으로도 응원합니다.

5.청년희망적금 관련 동영상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조건 납입 혜택1

 

 

청년희망적금은 무엇 인가요?

청년희망적금은 정부에서 청년 지원정책으로 만들어낸 은행 상품입니다.
청년희망적금 기간 24개월 연도별 납입 금액의 2~4% 저축 장려금 지원을 하고
시중 은행 금리 5~6% 적용,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조건은 무엇 인가요?

청년희망적금 조건은 만 19세 34세 청년 중에서 총 급여가 3600만 원 이하인 경우
종합소득 금액으로는 26000만 원 이하인 경우 가입을 할 수 있었습니다.
병역복무 기간을 산입하면 최대 6년으로 최고 39살까지 가입이 가능했었습니다.
월 최대 납입금액은 50만 원 2년 만기 자유적립 적금 방식입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도움이 되셨습니까?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5 / 5. 투표수 327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